1. GPIO 드라이브 설치
GPIO 설정을 위한 GPIO 드라이브 설치는 보통 다음의 gitHub에서 다운받아 설치한다.
https://github.com/orangepi-xunlong/wiringOP 사이트에 들어간다.
~$>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orangepi-xunlong/wiringOP.git
GitHub - orangepi-xunlong/wiringOP: wiringPi for Orange Pi
wiringPi for Orange Pi. Contribute to orangepi-xunlong/wiringOP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orangepi zero plus의 경우 다음의 것을 다운받아 설치하거나
다음의 경로에서 다운받는다.
https://drive.google.com/drive/folders/13U70Bra6rB_BCb-sfUMhF4NuheMaszIb?usp=sharing
다운받은 파일을 orangepi에 전송하여
~$> upzip wiringOP-master.zip
하면 해당폴드에 압축이 풀린다.
다운받아 풀린 폴드로 이동하여, 다음 명령어를 수행하여 컴파일한다.
~$> sudo ./build clean
~$> sudo ./build
컴파일이 완료되어,
~$>gpio readall 하면 gpio의 uart 포트 번호가 보일것이다.
2. /boot에 있는 armbianEnv.txt 혹은 orangepiEnv.txt 에 다음을 추가한다.
~$> cd /boot
~$> sudo nano armbianEnv.txt 혹은 armbianEnv.txt 파일에 추가하기 (uart1, uart2, uart3등 uart는 orangepi의 맵참조)
overlays=uart1 uart2
~$> sudo reboot
3. UART 동작 확인
~$> ls /sys/class/tty/ttyS* -lh 하면
lrwxrwxrwx 1 root root 0 Feb 11 15:44 /sys/class/tty/ttyS0 -> ../../devices/platform/soc/1c28000.serial/tty/ttyS0
lrwxrwxrwx 1 root root 0 Feb 11 15:44 /sys/class/tty/ttyS1 -> ../../devices/platform/soc/1c28400.serial/tty/ttyS1
lrwxrwxrwx 1 root root 0 Feb 11 15:44 /sys/class/tty/ttyS2 -> ../../devices/platform/soc/1c28800.serial/tty/ttyS2
lrwxrwxrwx 1 root root 0 Feb 11 15:44 /sys/class/tty/ttyS3 -> ../../devices/platform/serial8250/tty/ttyS3
lrwxrwxrwx 1 root root 0 Feb 11 15:44 /sys/class/tty/ttyS4 -> ../../devices/platform/serial8250/tty/ttyS4
lrwxrwxrwx 1 root root 0 Feb 11 15:44 /sys/class/tty/ttyS5 -> ../../devices/platform/serial8250/tty/ttyS5
4. MMDVMHost의 MMDVM.ini에 설정 :
UARTPort=/dev/ttyAMA0대신에 UARTPort=/dev/ttyS1 혹은 UARTPort=/dev/ttyS2 로 설정
'orangep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rangepi zero w2 에서 kiosk (0) | 2025.04.18 |
---|---|
orangepi 에 VNC server 설치 (2) | 2024.11.25 |
ircDDBGateway libaray 설치 (for armbian bookworm) (0) | 2024.11.18 |
Armbian OS 입문 (1) (3) | 2024.11.04 |